주휴수당 계산기 사용법

주휴수당 계산기 사용법

 

 

요즘 날씨가 상당히 더워지며 이제는 정말 여름이 찾아왔습니다. 더운 날씨에 고생하는 근로자분들 또는 사업주님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준비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한 나의 주휴수당은 얼마나 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하는 근로자분들 또는 일용직 근무를 하는 분들이 많이 알아보십니다.

 

이는 반드시 알아두어야 하는 사항으로 근무 일수 및 시간에 따른 주휴수당은 조건이 제각각이라 급여에 변동이 생기기도 합니다. 선행으로 행해야 하는 계산 방법으로는 주휴수당 계산기로 확실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하게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 네이버 검색창에

주휴수당 계산기를 검색하셔서 상단에 나오는 계산기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먼저 주휴수당계산기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 간단하게 주휴수당의 조건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휴수당 조건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근무 주간을 개설한 근로자에게 평균 1주일 이상의 유급휴가를 보장해야 합니다. 주5일제, 보통 토요일, 일요일, 또는 주간 휴일에 근무하는 근로자는 급여를 받게 됩니다.

 

주당 근로수당이 15시간 미만인 단기근로자에게는 주당 수당을, 5인 미만 사업장은 두 진을 적용합니다.

 

사업규모에 관계없이 저급여 조건을 충족하면 지급해야 하는데, 정리된 3가지의 조건들을 모두 충족하지 못하면 주휴수당에 포함되지 않으며 주휴수당은 발생되지 않습니다.

 

- 약정한 근으로 일에 모두 개근할 것 (결근 없음)

 

- 4주간 평균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 계속 근로할 것

2. 주휴수당 계산 방법

주휴수당은 주 40시간 근로하는 통상 근로자분의 근로시간에 비례하여 지급됩니다. 1주일, 8시간 근무, 주 5일 기준으로 예상 주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시급 8,590원 X 40시간 + 주휴수당 68,720원(8시간)

총예상 지급액 412,320원

 

생각보다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3.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법

네이버가 제공한 주당 용돈 계산기를 사용할 겁니다. 네이버 검색란에서 주당 용돈 계산기를 검색하면 다음 임금 계산기가 나타납니다.

 

일주일에 용돈을 계산하므로 더 정확한 방법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2020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8,590원입니다. 따라서 2020년 최저임금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계산하기를 클릭 후 나오는 아래의 값으로 계산된 금액은 6,8720원 위에서 언급해드린 금액과 동일합니다.

 

아래와 같은 방식도 역시 25,770원으로 동일합니다. 대신에 한 주 근무일수가 근무규정일 수 보다 적다면 주휴수당 조건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주휴수당이 계산되지 않습니다.

 

 

댓글(0)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