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억 월이자 '150만원' 높아지는 금리 그리고 주거비 어쩌나?
- 유용한지식정보
- 2022. 4. 4.
최근 국고채 금리 상승으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고 연 6%를 넘어선 데 이어 전세 금리가 최고 연 5%를 넘었습니다. 은행들은 올해 말까지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당연히 변동금리로 돈을 빌려 내 집을 장만하는 사람이나 전세 세입자, 은행 대출로 월세를 사는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도 1~2년 전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금리인상 수혜주로 꼽히는 은행업계에 호재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3억 월이자 '150만 원' 높아지는 금리
원리금 상환을 연체하는 대출자가 늘어나면서 부실이 커지면 은행으로서는 리스크(위험)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1일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시중은행의 주택금융공사, 서울보증, 주택도시 보증 등을 이용한 전세자금 대출 최고금리 상단이 5%대에 진입했거나 임박했습니다.
전날 현재 하나은행과 농협은행의 최고 금리는 주택금융공사 등 보증기관으로부터 최대 2억2200만원을 담보로 빌려주는 전세자금 대출상품 금리를 감안하면 5%를 넘었습니다.
전국민이 아직도 몰라 놓치고 있는 지원금 '이거' 로 확인가능!
전국민이 아직도 몰라 놓치고 있는 지원금 '이거' 로 확인가능!
전 국민이 아직도 몰라 놓치고 있는 지원금 '이거'로 확인 가능! 알아두면 좋은 글 주민센터에서 72만 원? 전 국민 누구나 되는 '이것' 신청해야 받을 수 있는 기름값 30만 원 지원 '이것' 1인당 20만
bellas1.tistory.com
이 상품들은 수도권 전세보증금 7억 원(지방 5억 원) 미만으로 보증금의 5% 이상을 낸 무주택자의 경우 보증금 상한액의 80% 이하를 대출해 줍니다.
다른 은행들도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상위 6%대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이날 현재 하나은행의 아파트 대출 금리는 5.718%, 신한은행 신한주택대출은 5.57%, 국민은행 KB모기지론은 5.57%입니다.
작년 초, 임대차입금은 연 2%에서 3%로 1년 만에 1% p 이상 증가했습니다.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해 10월 5%대로 진입한 지 5개월 만에 6%대로 진입했습니다.
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인 코픽스(COFIX)와 금융채 금리가 잇따라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이번 달, 은행들은 작년에 대출 나사를 다시 풀었지만, 금리가 오르면서 대출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은행이 2억 원의 리스 자금을 연 2.5%의 금리로 빌린다면, 대출자가 은행에 지불하는 월 이자는 약 41만 6천 원입니다.
단, 이자가 연 5%일 경우 월 납부 이자는 83만 3천 원이 됩니다. 또 5% 금리로 3억 원을 대출받으면 월 이자는 125만 원, 6%로 오르면 이자는 150만 원입니다.
어디까지 오를 것인가? 주택담보 대출 금리 6% 돌파!!
어디까지 오를 것인가? 주택담보 대출 금리 6% 돌파!!
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국고채 금리로 시장금리가 연속 상승하면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 결과 시중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
bellas1.tistory.com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5% 포인트 인상하는 큰 걸음을 내디딜 가능성을 점쳐온 만큼 한국도 연내 기준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 인수위는 주택시장의 부작용을 키운 요인으로 '임대차3법'을 지목하며 폐지 의지를 밝혔지만 현재로서는 가능성은 미지수입니다. 법안을 통과시킨 민주당이 시장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거' 아직도 모른다고? 30만원 저축 매달 40만원?
'이거' 아직도 모른다고? 30만원 저축 매달 40만원?
'이거' 아직도 모른다고? 30만 원 저축 매달 40만 원? 알아두면 좋은 글 1. 기초연금 대상자 확인방법!! 2. 99%가 관심 없는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3. 계좌 통합관리 서비스 조회방법! 4. 일자리 지원
bellas1.tistory.com
금리인상기에 취약계층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약자에서 무너질 수 있는 도미노 현상도 잠재해 있습니다. 이것은 또한 은행에게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대출자의 연체가 시작되는 등 부실이 시작되면 은행은 대출금을 받지 못할 위험이 커지고, 이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합니다. 대손충당금이 "비용"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은행의 수익 지표도 악화됩니다.
'유용한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관련 정부 보조금! '700만원' 지원 이라고? (0) | 2022.04.04 |
---|---|
'가족돌봅비용 긴급지원' 지원금 최대 100만원? (0) | 2022.04.04 |
전국민이 아직도 몰라 놓치고 있는 지원금 '이거' 로 확인가능! (0) | 2022.04.04 |
어디까지 오를 것인가? 주택담보 대출 금리 6% 돌파!! (0) | 2022.04.04 |
'이거' 아직도 모른다고? 30만원 저축 매달 40만원? (0) | 2022.04.03 |